'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을 위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전여민회 댓글 0건 조회 7,963회 작성일 13-01-10 10:05본문
2012 기획Ⅱ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을 위하여"
신 희 정 | 노동복지위원장
○ 한부모 여성가장에게 건강권은 있는가?
한부모 여성가장들은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건강하게 근로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건강한 가정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전 국민 의료보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계획에 따라 사후적인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적인 접근까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보건의료 인력수의 부족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수준이 낮고, 본인부담의 비중이 높아 취약계층에게 건강 문제는 여전히 삶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한부모 여성가장은 우리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표적인 집단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경제적으로 여전히 취약하다. 이러한 한부모 여성가장들은 아플 여유도 없고, 자신들의 건강상태를 돌 볼 여유도 없다. 자녀 양육과 근로를 우선으로 바쁘게 살다보면 건강에 소홀하게 되어 큰 병을 키우기도 하고 어쩌다 질병에 걸리게 되면 근로 단절을 초래하고, 자녀 양육이 어려워지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한 가정의 버팀목으로서 가장 건강해야 하는 한부모 여성가장들은 건강을 돌보기 힘들고, 이로 인해 건강을 헤치게 되면 더욱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 여성가장 건강권 지원사업의 의의
따라서 한부모 여성 가장에게 건강상태를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있는 건강검진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건강 상의 문제가 발견되면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렇다면 이러한 건강권 지원사업에 대상이 되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 및 건강과 관련된 여건들은 어떠한가, 또한 건강권 지원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떠한 영향을 받았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본 회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 지원사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한부모 여성가장 건강권 지원사업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관련 생활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은 수면의 불규칙성은 그리 심하지 않았지만 식사, 특히 점심식사의 불규칙성이 심했고,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건강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 하위요인, 즉 자아실현, 건강관리, 체력 및 영양관리,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강증진행위는 자아실현 영역과 대인관계 지지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는 평균이 높은 편이었고,건강관리영역과 체력 및 영양관리, 스트레스 관리 영역은 대체로 평균이 낮은 편에 속하였다.
2) 조사대상자들의 건강실태 및 보건의료 이용실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인 건강상태 평가에 의하면 여성 한부모는 대체로 건강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주관적으로 건강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 비해 실제 진단받은 질환 수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지난 1년간 의사 및 의료기관의 도움이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하지 못하였거나 중도에 포기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약 30%가 진료를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것에 비추어 보면 실제 여성가장들은 건강상의 문제가 있어도 의료기관을 통해 체계적인 진료와 관리를 받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일반정신건강 영역에서는 조사대상자인 여성 한부모의 경우 크게 부정적이지는 않았지만, 근심과 긴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의료기관 이용에 대한 부담실태로 의료비의 본인부담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자녀를 양육하면서 생계를 담당해야 하는 여성가장의 여건 상 가정과 직장을 병행하면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데 제한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심층인터뷰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 한부모들은 건강을 관리하는 데에 소극적이지만 역설적으로 건강이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실제 여성 한부모들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에 참여하는 정도에 만족해야 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신뢰하지 못하고 있었고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국가건강검진을 통해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질병을 종합검진으로 통하여 발견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일생에 처음인 종합검진의 경험은 특별했다.
① 우선 막연하게 불안하지만 확인하는 것도 두려웠던 건강상태를 확인하면서 삶의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삶의 의지를 새롭게 다짐하게 되었다. 특히 병을 발견하여 치료까지 받게 된 경우에는 건강검진과 치료의 경험이 “삶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고 각박하고 어렵기만 했던 삶에 “디딤돌”이 되어주었다.
② 본 사업으로 심리·정서적, 신체적 변화 뿐 아니라 가족관계에서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건강권 지원사업은 자녀들에게 엄마의 건강을 다시 생각하게 하고, 엄마에 대한 태도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러한 자녀의 변화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삶에 긍정적인 에너지가 되었고 여성가장 가정의 역량강화를 도모했다.
③ 한부모 여성가장은 건강권 지원사업을 통해 건강의 소중함과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건강검진을 통해 힘들지만 각자가 실천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것도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여성 한부모의 건강권 지원 사업의 지속발전을 위하여
첫째, 한부모 여성가장은 한 가정의 가장이자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건강을 위해 공공 의료보장 체계를 통해 질병치료 뿐 아니라 예방적 건강관리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은 미흡한 우리나라의 의료보장 상황에서 유보할 수 없고 유보해서도 안 되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한 사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시행이 요구된다.
둘째, 사업의 목적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1차 건강검진과 2차 정밀재검진, 3차 치료를 위한 사업이 보다 유연하고 다양하게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고, 집행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모델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이 요구된다.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을 위하여"
신 희 정 | 노동복지위원장
○ 한부모 여성가장에게 건강권은 있는가?
한부모 여성가장들은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건강하게 근로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건강한 가정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전 국민 의료보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계획에 따라 사후적인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적인 접근까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보건의료 인력수의 부족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수준이 낮고, 본인부담의 비중이 높아 취약계층에게 건강 문제는 여전히 삶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한부모 여성가장은 우리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표적인 집단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경제적으로 여전히 취약하다. 이러한 한부모 여성가장들은 아플 여유도 없고, 자신들의 건강상태를 돌 볼 여유도 없다. 자녀 양육과 근로를 우선으로 바쁘게 살다보면 건강에 소홀하게 되어 큰 병을 키우기도 하고 어쩌다 질병에 걸리게 되면 근로 단절을 초래하고, 자녀 양육이 어려워지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한 가정의 버팀목으로서 가장 건강해야 하는 한부모 여성가장들은 건강을 돌보기 힘들고, 이로 인해 건강을 헤치게 되면 더욱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 여성가장 건강권 지원사업의 의의
따라서 한부모 여성 가장에게 건강상태를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있는 건강검진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건강 상의 문제가 발견되면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렇다면 이러한 건강권 지원사업에 대상이 되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 및 건강과 관련된 여건들은 어떠한가, 또한 건강권 지원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떠한 영향을 받았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본 회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 지원사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한부모 여성가장 건강권 지원사업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관련 생활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은 수면의 불규칙성은 그리 심하지 않았지만 식사, 특히 점심식사의 불규칙성이 심했고,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건강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 하위요인, 즉 자아실현, 건강관리, 체력 및 영양관리,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강증진행위는 자아실현 영역과 대인관계 지지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는 평균이 높은 편이었고,건강관리영역과 체력 및 영양관리, 스트레스 관리 영역은 대체로 평균이 낮은 편에 속하였다.
2) 조사대상자들의 건강실태 및 보건의료 이용실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인 건강상태 평가에 의하면 여성 한부모는 대체로 건강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주관적으로 건강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 비해 실제 진단받은 질환 수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지난 1년간 의사 및 의료기관의 도움이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하지 못하였거나 중도에 포기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약 30%가 진료를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것에 비추어 보면 실제 여성가장들은 건강상의 문제가 있어도 의료기관을 통해 체계적인 진료와 관리를 받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일반정신건강 영역에서는 조사대상자인 여성 한부모의 경우 크게 부정적이지는 않았지만, 근심과 긴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의료기관 이용에 대한 부담실태로 의료비의 본인부담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자녀를 양육하면서 생계를 담당해야 하는 여성가장의 여건 상 가정과 직장을 병행하면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데 제한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심층인터뷰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 한부모들은 건강을 관리하는 데에 소극적이지만 역설적으로 건강이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실제 여성 한부모들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에 참여하는 정도에 만족해야 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신뢰하지 못하고 있었고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국가건강검진을 통해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질병을 종합검진으로 통하여 발견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일생에 처음인 종합검진의 경험은 특별했다.
① 우선 막연하게 불안하지만 확인하는 것도 두려웠던 건강상태를 확인하면서 삶의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삶의 의지를 새롭게 다짐하게 되었다. 특히 병을 발견하여 치료까지 받게 된 경우에는 건강검진과 치료의 경험이 “삶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고 각박하고 어렵기만 했던 삶에 “디딤돌”이 되어주었다.
② 본 사업으로 심리·정서적, 신체적 변화 뿐 아니라 가족관계에서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건강권 지원사업은 자녀들에게 엄마의 건강을 다시 생각하게 하고, 엄마에 대한 태도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러한 자녀의 변화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삶에 긍정적인 에너지가 되었고 여성가장 가정의 역량강화를 도모했다.
③ 한부모 여성가장은 건강권 지원사업을 통해 건강의 소중함과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건강검진을 통해 힘들지만 각자가 실천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것도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여성 한부모의 건강권 지원 사업의 지속발전을 위하여
첫째, 한부모 여성가장은 한 가정의 가장이자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건강을 위해 공공 의료보장 체계를 통해 질병치료 뿐 아니라 예방적 건강관리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은 미흡한 우리나라의 의료보장 상황에서 유보할 수 없고 유보해서도 안 되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한 사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시행이 요구된다.
둘째, 사업의 목적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1차 건강검진과 2차 정밀재검진, 3차 치료를 위한 사업이 보다 유연하고 다양하게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고, 집행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모델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이 요구된다.
- 이전글[145호 회지] 2013년 보육지원정책을 어떻게 볼 것인가 13.04.05
- 다음글'Are you Ready?' 새 정부에서 제대로 추진해야하는 성주류화 전략 1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