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여민회 로고
모바일 메뉴 열기
로그인 /    회원가입
페이스북 바로가기
알림

민원을 빌미로 혐오를 확산하고 평등의 가치를 훼손하는 진주시를 규탄한다! - 진주여성민우회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전여민회 댓글 0건 조회 9회 작성일 25-08-29 11:22

본문

민원을 빌미로 혐오를 확산하고

평등의 가치를 훼손하는 진주시를 규탄한다!

 

 

- 진주여성민우회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연속강의에 대한

보조금 취소 행정에 부쳐

 

진주여성민우회가 올해 진주시양성평등기금사업으로 선정되어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연속강의를 주최한다. 총 10강으로 이루어진 본 교육은 페미니즘의 관점으로 질병, 퀴어, 환경, 언론 등 다양한 주제를 살펴보며 토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엄이라는 무기로 민주주의를 심각하게 훼손하였으며 ‘여성가족부폐지’라는 혐오선동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던 윤석열을 광장의 힘으로 몰아낸 이 새로운 시대에는 성평등과 페미니즘이 더 많이 논의되고 질문되어야 한다. 본 강의가 지역에서 그러한 자리가 되어야 했으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성평등 교육을 취소하라’는 악성 민원이 반복적으로 올라오고, 항의전화가 폭주하자 진주시는 진주여성민우회 측에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으면 보조금을 취소하겠다는 공문을 보내왔고,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이었던 민우회에 대해 보조금 취소를 결정했다. 이미 선정된 사업에 대한 보조금 취소가 어떤 조례를 따르는지, 적법한 절차가 진행되었는지 등이 공개되지 않은 채로 이루어진 처사였다. 사업 선정에 책임이 있는 진주시 관계자들은 선정 당시 성평등에 대한 이해 없이 본 사업을 승인하였는지 묻고 싶다. 성평등에 대한 이해 없이 선정하고, 성평등에 대한 이해 없이 취소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도 묻고 싶다. 이는 차별적이고 과도한 행정임을 분명히 하며, 어떠한 타당한 근거도 없이 무책임하게 취소를 결정한 진주시를 강력히 규탄한다.

 

민주주의와 성평등을 확산하는 역할을 해야할 지자체가 민원이라는 빌미로 사회적 소수자와 여성에 대한 혐오를 용인하는 처사는 용납할 수 없다. 단호하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혐오와 차별은 끊임없이 자라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간 시민으로서 호명되지 못했던 퀴어와 여성의 이야기를 더 많이 생산하고, 기존의 사회규범에 저항하는 성평등이라는 가치를 이야기하고 배우는 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지향해야 할 민주주의인 것을 우리는 이미 지난 윤석열 퇴진 광장 때 확인했다. 민주주의가 지역에서 풀뿌리처럼 단단해질 수 있도록 지자체는 차별과 혐오에 단호하게 대처하고 평등의 가치를 가장 앞서 보호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진주시는 직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2025 모두를 위한 성평등’ 강의에 대한 보조금 취소 결정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2025년 8월 29일

 

강릉여성의전화, 강화여성의전화, 거창여성회, 경남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장애인연대, 경남여성회, 경주여성노동자회, 고양여성민우회, 광명여성의전화, 광주여성노동자회, 광주여성민우회, 광주여성의전화, 군산여성의전화, 군포여성민우회, 김포여성의전화, 김해여성의전화, 김해여성회,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대구여성노동자회, 대구여성의전화, 대구여성회, 대전여민회, 대전여성단체연합, 디딤장애인성인권지원센터, 마산창원여성노동자회, 목표여성의전화, 부산여성단체연합, 부산여성의전화, 부산여성회, 부천여성노동자회, 부천여성의전화, 서울강서양천여성의전화, 서울동북여성민우회, 서울여성노동자회, 성남여성의전화, 수원여성노동자회, 수원여성의전화, 수원여성회, 시흥여성의전화, 안산여성노동자회, 안양여성의전화, 영광여성의전화, 울산여성의전화, 원주여성민우회, 익산여성의전화, 인천여성노동자회, 인천여성민우회, 인천여성회, 전북여성노동자회, 정의당 경기도당, 제주여민회, 진주여성민우회, 진주여성의전화, 진해여성의전화, 창원여성살림공동체, 창원여성의전화, 천안여성의전화, 청주여성의전화, 춘천여성민우회, 통영여성장애인연대, 파주여성민우회,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포항여성회,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노동자회,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의전화 (총 68개 단체)